본문 바로가기
미국 성장주 가치투자자의 투자노트

애플 25년 1분기 실적 발표 완벽 분석(회계 연도 25년 2분기, 서비스부문 매출, 중국 관세 영향, 가이던스, 컨퍼런스콜 요약, 팀쿡, 아이폰 성장 정체, AI관련 멘트, CASH FLOW, 25년 아이패드 판매량, 인공지능 전략, 중국 관세 영향)

by 파이팅 쌤 2025. 5. 2.
반응형

애플 25년 1분기 실적 발표를 완벽하게 분석했습니다.

애플 회계연도 상으로는 25년 2분기 실적입니다.

애플 25년 1분기 실적 발표 완벽 분석(회계 연도 25년 2분기, 서비스부문 매출, 중국 관세 영향, 가이던스, 컨퍼런스콜 요약, 팀쿡, 아이폰 성장 정체, AI관련 멘트, CASH FLOW, 25년 아이패드 판매량, 인공지능 전략, 중국 관세 영향)
애플 25년 1분기 실적 발표 완벽 분석(회계 연도 25년 2분기, 서비스부문 매출, 중국 관세 영향, 가이던스, 컨퍼런스콜 요약, 팀쿡, 아이폰 성장 정체, AI관련 멘트, CASH FLOW, 25년 아이패드 판매량, 인공지능 전략, 중국 관세 영향)

 

 

안녕하십니까.

 

오늘의 주제는

애플 25년 1분기 실적 발표 완벽 분석

입니다.

 

 

목차

1. 25년 1분기 실적 핵심 분석

2. 사업 부문별 매출

3. 컨퍼런스 콜

4. 투자 인사이트

 

1. 25년 1분기 실적 핵심 분석

지표 25년 1분기 24년 1분기 성장율 설명
매출(Net Sales) 95.36 90.75 +5.1% 견고한 서비스 부문 성장 중심
매출총이익(Gross Profit) 44.87 42.27 +6.1% 제품보다 서비스 부문 기여 증가
매출총이익률(Gross Margin) 47.1% 46.6% +0.5%p 비용 통제 및 고마진 서비스 비중 확대로
개선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29.59 27.90 +6.1% R&D 및 판관비 증가에도 불구하고 양호한 성장
영업이익률(Operating Margin) 31.0% 30.7% +0.3%p 효율적인 비용 구조 유지
순이익(Net Income) 24.78 23.64 +4.8% 실질적인 수익성 안정 유지
순이익률(Net Margin) 26.0% 26.0% - 고정비 구조 유지에 따른 안정적 수익성
EPS (희석 기준) $1.65 $1.53 +7.8% 자사주 매입 효과도 반영
Free Cash Flow $47.88 $52.20 -8.3% 영업현금흐름 $53.89B, CapEx $6.01B
기준
부채비율 397% 541% 개선 자산 대비 총부채 비중 감소,
재무건전성 개선

 

1. 성장성

총매출: $95.36B (YoY +5.1%)

FY24 Q2: $90.75B → +4.61B 증가

 

서비스 매출: $26.65B (YoY +11.7%)

FY24 Q2: $23.87B → +2.78B 증가

 

제품 매출 성장은 상대적으로 둔화

iPhone: $46.84B → +1.9%

Mac: $7.95B → +6.7%

iPad: $6.40B → +15.2%

 

영업이익: $29.59B (YoY +6.1%)

 

EPS (희석 기준): $1.65 → YoY +7.8% 상승

 

해석

서비스 중심의 성장 구조가 뚜렷하며,

제품군 중 iPad는 높은 성장세.

 

EPS 상승은 이익 증가 + 자사주 매입 효과.

 

2. 수익성

매출총이익: $44.87B →

총이익률 47.1% (FY24 Q2: 46.6%)

 

영업이익: $29.59B →

영업이익률 31.0% (FY24 Q2: 30.7%)

 

순이익: $24.78B →

순이익률 26.0% (FY24 Q2 동일)

 

서비스 부문 이익률

 매출 $26.65B, 원가 $6.46B →

76% 수준의 부문 마진

 

 해석

전체 마진 구조는 안정적이며,

고마진 서비스 매출 비중 확대가 긍정적.

전사 평균보다 2배 이상 높은 서비스 부문 마진이 수익성의 핵심.

 

3. 현금 흐름 (Free Cash Flow)

영업활동 현금흐름 (OCF): $53.89B

 

설비투자 (CapEx): $6.01B

 

Free Cash Flow = $47.88B

 

FY24 동기: $52.20B → YoY -8.3% 감소

 

해석

CapEx 증가와 재고/운전자본 변동에 따른 FCF 하락.

전년 대비 감소는 있지만 절대 규모는 여전히 매우 강력.

 

 

2. 사업 부문별 매출

사업부문 25년 1분기 24년 1분기 성장율
iPhone $46.84 $45.96 +1.9%
Mac $7.95 $7.45 +6.7%
iPad $6.40 $5.56 +15.2%
Wearables, Home, etc. $7.52 $7.91 -4.9%
Services $26.65 $23.87 +11.7%
총합 (Total) $95.36 $90.75 +5.1%

 

사업 부문별 매출 상세 설명

사업부문 설명
iPhone 최대 매출원 유지(49.1%)이나 성장률은 낮음 (+1.9%).
고가 모델 수요는 견고하나 기술 혁신 둔화와 교체 수요 정체가 영향.
Mac +6.7% 성장. AI 워크로드 및 M 시리즈 칩 기반 성능 개선 덕분에 회복세.
특히 고성능 모델 중심의 수요 증가.
iPad +15.2%로 최고 성장률. 교육 및 업무 수요 증가, AI 최적화 모델 호응,
작년 기저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
Wearables, Home, Accessories -4.9% 감소. 신제품 주기 공백 및 수요 둔화 영향.
AirPods, Apple Watch 신모델 부재가 요인.
Services +11.7% 성장. App Store, 구독, 광고 등 고마진 서비스가 고르게 성장하며
전체 수익성 핵심 부문으로 부상.

 

 

1. iPhone – 안정적이나 정체된 성장

제품 사이클이 점진적이며, 혁신 대비 가격 저항선에 도달한 것으로 보임.

서비스화 전략(예: AppleCare, 업그레이드 프로그램)과의 연계 중요성이 커지고 있음.

 

2. Mac – B2B 중심 회복 + AI 수요 대응

AI 개발자 및 크리에이터 수요 회복, 특히 MacBook Pro 등 고성능 라인 영향.

ARM 기반 M 시리즈의 성능 향상이 Mac 생태계 내 업그레이드 촉진.

 

3. iPad – 전략적 성장 동력으로 부상

교육기관과 원격근무 수요가 여전히 유지되며, 엔트리 라인업과 Pro 라인 모두 고르게 판매 증가.

연내 OLED iPad 등 차세대 신제품 루머로 인해 수요 선반영 가능성 있음.

 

4. Wearables 등 – 제품 주기 의존성 리스크

기존 제품의 노후화와 신모델 공백 시 판매 급감.

FY25 Q3에 신제품 출시에 따른 반등 기대.

 

5. Services – 장기 수익성과 밸류에이션의 핵심

Apple One 등의 번들 서비스 전략이 락인 효과를 유발.

전체 마진율 제고에 핵심 기여

서비스 부문은 76% 이상의 이익률 추정.

매출 비중이 전체의 약 28%, 과거 20% 수준에서 꾸준히 확대 중.

애플 25년 1분기 실적 발표 완벽 분석(회계 연도 25년 2분기, 서비스부문 매출, 중국 관세 영향, 가이던스, 컨퍼런스콜 요약, 팀쿡, 아이폰 성장 정체, AI관련 멘트, CASH FLOW, 25년 아이패드 판매량, 인공지능 전략)
애플 25년 1분기 실적 발표 완벽 분석(회계 연도 25년 2분기, 서비스부문 매출, 중국 관세 영향, 가이던스, 컨퍼런스콜 요약, 팀쿡, 아이폰 성장 정체, AI관련 멘트, CASH FLOW, 25년 아이패드 판매량, 인공지능 전략)

 

3. 컨퍼런스 콜

 

팀 쿡 CEO 발언 요약

1. 공급망 다변화와 관세 대응

미국 판매용 iPhone의 대부분을 인도에서 생산하고 있으며,

iPad, Mac, Apple Watch 등은 주로 베트남에서 조달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관세 리스크를 완화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2. 관세 영향

현재 수준의 관세가 유지될 경우,

2025년 3분기(6월 분기)에는

약 9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3. 중국 시장에 대한 낙관적 전망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은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지만,

환율 영향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는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분기별로 판매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언급했습니다.

 

4. 서비스 부문 성장

서비스 부문 매출이 전년 대비 12% 증가하여

266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전체 매출의 약 28%를 차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5. AI 전략

애플은 AI 분야에서 큰 기회를 보고 있으며,

향후 몇 주 내에 관련된 주요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예고했습니다.

 

가이던스 요약 (2025년 3분기 전망)

 

1. 매출 총괄 가이던스

한 자릿수 초중반대 성장

 

애플은 FY25 Q3(2025년 6월 종료 분기) 전사 매출이

YoY로 “한 자릿수 초중반(mid-single digits)”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즉, 약 4~6% 수준의 매출 성장을 예상하고 있는 셈입니다.

 

전년 동기(FY24 Q3) 기준 매출은 $81.8B였으므로,

이를 기준으로 한다면 FY25 Q3 매출 가이던스는 약 $85.1B ~ $86.7B 수준으로 추정됩니다.

 

해석

제품 부문(iPhone, Wearables 등)의 성장은 정체적이지만,

서비스와 iPad 부문이 이끄는 균형 잡힌 성장을 전망하고 있습니다.

환율 영향은 중립적(neutral FX)으로 가정하고 있습니다.

 

2. 서비스 부문: 두 자릿수 성장 예상

FY25 Q3 서비스 부문 매출에 대해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double-digit growth)”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FY24 Q3 서비스 매출은 약 $21.2B였고,

FY25 Q2에 이미 $26.65B를 기록했기 때문에

Q3 전망 매출은 $23.5B ~ $24.5B 이상이 유력합니다.

 

주요 성장 동력

유료 구독자 수 10억 명 돌파

App Store, AppleCare, iCloud, Apple Music,

광고(특히 검색 광고), 금융서비스(Apple Card, Pay, Savings)의 성장

기업 고객 대상의 생산성 앱과 보안 서비스 확장

 

3. iPad: 두 자릿수 성장 전망

팀 쿡은 iPad 부문에 대해 FY25 Q3에는

전년 대비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최근 **신형 iPad Pro 및 iPad Air 모델의 5월 출시(예정)**가

반영된 가이던스입니다.

 

전년 동기 iPad 매출은 $5.79B 수준 →

FY25 Q3에는 $6.3B~$6.8B 이상 가능성

 

성장 근거

M2/M3 칩셋 탑재 신형 iPad

OLED 디스플레이 전환

고급형 콘텐츠 생산용 수요 증가

 

4. Mac 부문: “전년과 유사” 수준 유지 전망

FY25 Q3 Mac 매출은

**전년 수준과 유사(“roughly flat”)**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는 신형 모델 출시 주기가 없으며,

비교 시점인 FY24 Q3도 다소 높은 실적이었기 때문입니다.

 

5. Wearables, Home, Accessories: 역성장 지속 가능성

애플은 이 부문에 대한 구체적 가이던스를 제시하지 않았지만,

성장률 하락 추세가 FY25 Q3까지 이어질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신제품 출시(Apple Watch, AirPods 등)는

FY25 Q4로 예상되고 있어 Q3에는 반등 요소 부족

 

6. 영업이익률 & 마진 가이던스

총이익률(Gross Margin) 가이던스: 44.0% ~ 45.0%

FY25 Q2 실적은 47.1%로 이보다 높지만,

Q3에는 제품 믹스와 원가 변동에 따라 다소 하락 가능성.

 

원인

신제품 출시에 따른 초기 생산비용 증가

환율 영향 중립적

서비스 부문 비중 증가로 일정 수준 방어는 가능

 

7. 관세 영향 가이던스

팀 쿡은 현행 중국 제품에 대한 관세가 연장될 경우,

FY25 Q3에 약 **$900 million (9억 달러)**의 비용 증가가 발생할 수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 금액은 주로 제품 원가 및 물류비 상승으로 반영되어

총이익률 하방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투자 인사이트

현재 애플은 시간외 거래에서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는

 

1.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로 인한 비용 증가 우려

팀 쿡 CEO는 2025년 6월 분기(3분기)에 약 9억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애플은 미국 시장용 iPhone 생산을 인도로, iPad와 Mac은 베트남으로 이전했지만,

여전히 중국산 부품 및 조립에 대한 20%의 수입세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세는 **총이익률(Gross Margin)**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투자자들의 우려를 증폭시켰습니다.

 

2. 중국 시장 매출 감소

중국 지역 매출은 전년 대비 2.3% 감소했습니다.

이는 화웨이 등 현지 경쟁사의 부상환율 변동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됩니다.

 

3. AI 전략에 대한 불확실성

애플은 AI 분야에서의 전략을 강조했으나,

구체적인 로드맵이나 제품 발표가 부족하여 투자자들의 기대에 미치지 못했습니다.

 

특히, Siri 개선 등에서의 지연이 지적되며, 경쟁사 대비 AI 경쟁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4. 실적 호조에도 불구한 주가 하락

애플은 FY25 2분기에 매출 $95.36B, EPS $1.65로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그러나, 서비스 부문 매출이 예상보다 다소 낮았고,

앞서 언급한 리스크들이 부각되며 주가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