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오늘의 주제는
매주 마지막 수업으로
강력 추천하는 과목입니다.
보통
매주 마지막 수업은
학년에 따라 다르지만
금요일 4교시
금요일 5교시
입니다.
금요일이 휴일이라면
목요일 6교시가
그 주의
마지막 수업이 됩니다.
이런 마지막 수업으로
강력 추천하는
과목이 있습니다.
앞서 우리는 권위있는 교사가
되어야 된다고 말했습니다.
권위있는 선생님 되기
오늘은권위있는 선생님이 되기 위한방법에 대해 글을 써보겠습니다. https://fightingssam.tistory.com/entry/3%EC%9B%94-%EA%B0%9C%ED%95%99-%EC%B2%AB-%EB%82%A0-%ED%9A%A8%EA%B3%BC%EC%A0%81%EC%9D%B8-%ED%95%99%EA%B8%89-%ED%99%9C%EB%8F%
fightingssam.tistory.com
그리고
권위있는 교사가 되면
학생들에게
인기가 없는 교사가
될 것이라는 편견이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방법을 잘 사용하면
권위있는 교사가
권위를 유지하며
운영의 묘만 잘 발휘하면
학급의 아동들이선생님을 굉장히 좋아하게 하는
방법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1~6학년
전체 학생을 통틀어
가장 좋아하는 과목이 무엇일까요?
선생님들께서는 아마
정답을 바로 아실 것 같습니다.
바로
체육입니다.
1~2학년에는 체육이라는 과목은 없습니다.
대신 창의적체험활동을
통해
다양한 신체활동을 합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체육이라는
과목을 잘 활용해야 합니다.
그럼 금요일 마지막 시간에는
무슨 과목을
해야하는지
감을 잡으셨을 것 같습니다.
바로
체육입니다.
요즘
초등학생들은
어른들만큼이나 바쁩니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평일에는
5~6시까지
학원을
여러 개 다니다가
집으로 갑니다.
집에서
저녁 먹고
조금 놀다가
씻고
꿈나라로 갑니다.
이런 상황에서
평일에는
집에서 학교에 대해
부모님과 이야기할 시간도
학교에 대해 생각할 시간도
별로 없습니다.
그러나 금요일 수업이 끝나면
토요일과 일요일
이틀의
주말이 있습니다.
보통
부모님과도
이때 많은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리고 주말이 되기 전
가장 기억에 남는 학교의 장면
무엇일까요?
당연히 금요일이 됩니다.
그리고
금요일
마지막 시간으로
즐겁운 체육을 하고
집으로 돌아간다면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에
있었던
일들은
크게 기억에 남지 않습니다.
그래서
부모님과 이야기할 때도
주말 동안 혹시라도 학교에 대한
생각이 떠올랐을 때도
학교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이 남아있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자연스럽게
담임선생님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으로 연결이 되고
우리반 선생님은
좋은 선생님으로
긍정적인 감정들이
쌓이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금요일 마지막 시간은
항상 체육으로
시간표를 짜고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금요일이 휴일이 된다면
그 전날 마지막 수업으로
체육을 하면 됩니다.
체육이 아닌 시간에
체육을 수업을 하는 것만큼
학생들에게
큰 기쁨을 주는
교사의 선물은
없습니다.
따라서
학급 경영을 하면서
체육
을
너무 아껴서 하면 안됩니다.
매주 금요일 마지막 수업으로
체육을 하고
금요일이 휴일이라면
그 전날
마지막 수업으로
체육이 아닌 시간에
체육을 한다면
학생들은
우리반 선생님은
체육을 많이해주는
좋은 선생님으로 기억을 할 것입니다.
그리고
체육 수업을 하고 난뒤
정리를 하면서
"오늘 하루 즐거웠지요?"
라고 말하며
학생들에게
오늘 하루가 즐거웠다는 것을
각인시켜주는
발언도
하면
더욱 좋습니다.
특히
체육 시간이 아닌 시간에
체육을 했다면
"여러분들이 선생님의 말을 잘 들어서
체육을 했습니다."
"학급 규칙을 잘 지켜서 체육을 했습니다"
등
오늘 특별히 체육을 한
이유를
학생들의 행동 중에서
긍정적으로
제시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강화들이
우리의
학급경영을
더욱 수월하고
편안하게 만들어 줄 것 입니다.
핵심 정리
1. 금요일 마지막 시간은 체육을 하는 것을 강력 추천합니다.
2. 금요일 휴일이라면 전날 마지막 시간에 체육을 합니다.
3. 체육을 하면서 정리시간에는 꼭
"오늘 즐거웠지요?"
라는 즐거웠던 감정을
더욱 강화하고
확인하는
말을 해주면 좋습니다.
4. 체육이 아닌 시간에 체육을 한 경우
학생들의 잘한 행동을
강화 할 수 있는 발언을 해주면 좋습니다.
5. "나는 체육을 싫어하는 데"
라고
생각하시는 선생님도 계실겁니다.
6. 그때는 창의적체험활동을 통해
교실 놀이를 하거나 학급의 아동들이
좋아하는 활동을 하면 됩니다.
7. 가장 중요한 점은
그 주의 마지막 시간에
학생들이 즐겁게 하교를 하는 것입니다.
8. 굉장히 효과가 큰 학급경영 노하우이기에
25학년도에 사용해보시기를
강력 추천드립니다.
'권위있는 교사의 학급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제나 어려운 학부모 상담과 관련된 모르면 손해보는 노하우 (0) | 2025.02.23 |
---|---|
학부모들에게 교사의 권위와 공동체 의식을 심어주는 안내문 (0) | 2025.02.21 |
권위있는 선생님이 하면 절대 안되는 행동 4가지 (0) | 2025.02.10 |
권위있는 선생님 되기 (2) | 2025.02.08 |
3월 개학 첫 날 효과적인 학급 활동 (2) | 2025.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