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오늘의 주제는
서로
도와주고
자제시켜
주는
파이팅 쌤의
자리배치
입니다.
교실에서
자리배치는
굉장히 중요한
학급 경영
요소입니다.
자리 배치를 통해
학습 부진아를 도와주고
수업 시간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을 도와줄 수 있습니다.
저는 자리배치를
시기별로
다르게
배치하는데
오늘 시기별 자리배치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바로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1. 새학기 첫 날~진단 평가 전
새학기 첫 날부터
진단 평가 전까지
저는 짝이 없이
혼자만 앉도록 자리를 배치합니다.
이때
첫날에 번호대로 앉도록
안내하고
시력이 많이 안좋거나
키가 작은 친구들은
앞으로
배치해줍니다.
그리고
자리배치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언제든
선생님이
자리를
교체할 수 있다고
알려주는 것입니다.
<자리 배치도>
20 | 15 | 10 | 5 | |||
19 | 14 | 9 | 4 | |||
18 | 13 | 8 | 3 | |||
17 | 12 | 7 | 2 | |||
16 | 11 | 6 | 1 |
2. 진단 평가 후~ 3월
학급 자치회 선거 후
회장과 부회장이
정해지고
진단평가
후에는
짝을 이룬 형태의
자리배치로 바꾸어 줍니다.
이때는
남학생과
여학생을
짝으로 만들고
그동안 지켜본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 부진아와
도움을 줄 수 있는 학생
수업 태도가 나쁜 학생과
수업 태도가 좋은 학생으로
말수가 많은 학생과
적은 학생
등으로
묶어줍니다.
특히 회장과
부회장의 짝으로는
생활태도나
학습이나
도움이 많이 필요한
친구로
정해줍니다.
<짝이 생긴 자리 배치도>
남 | 여 | 남 | 여 |
그리고 모둠 활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모둠을 묶어주어
짝으로 된 자리배치에서
모둠활동 시
책상만 뒤로 돌리면
모둠형태로
운영할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남 | 여 | 2모둠 | |||
남 | 여 | ||||
남 | 여 | 1모둠 | |||
남 | 여 | 남 | 여 |
3. 4월 ~
기본적으로 자리는
한달에 한번 바꾼다고 안내를
합니다.
그리고
3월 동안
짝활동
모둠활동을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4월에는
다시 선생님이 자리를
정해줍니다.
3월 자리 배치와 동일하지만
4월에는 모둠활동을
더 고려하여
자리를 배치하여 줍니다.
모둠활동에서
리더의 역할을 잘 수행한
학생들을
포인트로 하여
먼저 자리 배치를 하고
나머지 학생들을
3월에
자리배치에서 고려한
요소들을
바탕으로
자리를 배치합니다.
남여 짝 및 모둠 내 남녀 성비 맞추기 | 학습 부진아, 집중력, 수업 태도 등 고려하여 짝 선정 | |||||
4모둠 | 일반학생 | 일반학생 | 2모둠 | |||
리더학생 | 일바학생 |
리더학생 | ||||
3모둠 | 일반학생 | 일반학생 | 1모둠 | |||
리더학생 | 일반학생 | 리더학생 |
앞에서 설명했듯이
이러한 자리 배치 이후에도
선생님께서
필요시
자리는 바꾸어
주시면 됩니다.
4. 4월 이후
한달마다
자리를 바꾸기로 했기에
5월이 되면
자리를 바꿉니다.
저는
수업 시
모둠활동을
많이 활용합니다.
캔바를 활용한 PPT 제작
역할극
프로젝트 수업
등
그래서 저는
5월이 되면
ㄷ자 형태를 선호합니다.
다만
요즘의 교실 크기와
많은 학생 수로는
ㄷ자 형태로 구성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그래도
ㄷ자 형태를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조용한 학생 | 떠드는 학생 | 조용한 학생 | 집중력 우수 | ||
학업 우수자 | 집중력 하 | ||||
학습 부진 | 집중력 우수 | ||||
학업 우수자 | |||||
20명 기준으로
4명씩 5모둠이 나오는
ㄷ 자 자리 배치입니다.
※ 색깔은 모둠 구분입니다.
※ 배치된 학생들의 자리는 예시입니다.
ㄷ자 자리 배치의 장점은
1. 교사의 시야에
모든 학생이 들어온다.
2. 모둠활동이 원활합니다.
3. 빡빡한 교실 환경에서
조금이나마 공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4. 학습 부진아
수업태도 안 좋은 학생
떠드는 학생
등을
양 옆에 우수자를 통해
더블팁으로 마크 가능합니다.
그리고
5월 정도부터는
자리 배치에서
학생들에게도
자율성을 부여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조금 다른 점은
모둠장들을 먼저 뽑고
모둠장들이
나머지 모둠원을 뽑는 식으로
자리를 배치합니다.
이때
모둠장을 하고 싶은 친구가 많으면
그동안
모둠활동에 바르고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는 근거를
들어
선생님께서 뽑아주시면 됩니다.
추후 모둠활동 시 조금이나마
바르게 행동하는 강화물이 됩니다.
이때
모둠장이 여자라면
남자
여자
남자
순으로 뽑아
남여의 성비를 맞춥니다.
이렇게
모둠장으로 선출된 친구들이
가위바위보로 순서를 정하고
차례대로 모둠원을지목하여
모둠을 구성하면
장점으로
모둠의 수준이 대체로
비슷하게 형성된다는
점입니다.
남여 번갈아가면서 뽑고
다른 모둠에서도 우수한 학생을 뽑아가기에
무조건 친한 친구로만
모둠을 구성할 수 없게 됩니다.
_이때는
모둠장이
모둠원을 골랐기에
모둠 내에서
가장 우수한 학생
조용한 학생
등으로
더블팁을 구성했습니다.
모둠장이 모둠원은
정했지만
앉는 자리는
선생님이 정해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모둠 구성이
너무 문제가 많을 때는
뽑는 순간에
모둠장에게
이야기 하거나
추후에 바꾸면 됩니다.
그리고 모둠장은
한번 하면
다음에는 못합니다.
학생들에게
1년 중 한달은
리더의 경험을 부여하기 위함입니다.
그리고
그동안 태도가 바르지 못해
이 친구가 모둠장을 해도 되나
싶은 친구들도
기회를 주고 칭찬을 많이하면
모둠장의 역할을
훌륭히 잘 수행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자리가 사람을 만든다는
속담이 생각납니다.
그리고
중요한 점은
이렇게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모둠장을 하고
모둠원을 구성해도
수업 중 떠들거나
모둠활동이 제대로 안 이루어지거나
담임선생님의 판단으로 인해
선생님이
모둠장을 교체하거나
자리를 바꾸어버린다는 점을
학생들에게
공지해야합니다.
ㄷ자가 안나오는 경우는
저는 5월부터는
모둠 자리 배치로 진행을 했습니다.
자리배치만 다르지
기본적인 운영방법은
ㄷ자 운영방법과 동일합니다.
조용한 학생 | 모둠장 | 일반학생 | ||
떠드는 학생 | 조용한 학생 | 일반학생 | 일반학생 | |
성적 우수자 | 모둠장 |
일반학생 |
||
학습 부진아 | 성적 우수자 |
※ 색깔은 모둠 구분입니다.
※ 배치된 학생들은 예시입니다.
이상으로
서로
도와주고
자제시켜
주는
파이팅 쌤의
자리배치
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도 파이팅입니다!
교사가 행복해야
학생도 행복합니다.
'권위있는 교사의 교사는 편안하고 학생은 안정을 느끼는 학급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활한 1교시를 위한 파이팅쌤의 아침활동_feat.AI시대 필수 (0) | 2025.03.07 |
---|---|
파이팅쌤의 학급 자치회 역할 안내 PPT (2) | 2025.03.03 |
교실에서 학생의 무한 질문 늪에서 벗어나는 방법 (0) | 2025.02.27 |
학생을 권위있는 교사에게 스며들게 만드는 파이팅쌤의 언어! (0) | 2025.02.25 |
단순해야 잘 지켜지는 학급 규칙! 파이팅 쌤의 4 원칙! (0) | 2025.02.25 |